경북불교문화원
- 1. 불교 문화재 조사 사업
- 2. 사찰 체험 프로그램 개최
- 3. 경북불교문화제 ‘호계삼소(虎溪三笑)’ 개최
- 4. 간경도감(刊經都監) 설치
- 5. 훈민정음 해례본 귀향 시민운동
- 6. 유네스코 세계유산 보존 및 홍보
- 7. 명사초청 인문학 아카데미
- 8. 청소년 문화재 순회 강좌
- 9. 의성최치원문학관 AR/VR 콘텐츠 제작 사업
- 10. 고운사 사찰음식문화제 지원
1. 불교 문화재 조사 사업
-
목적
전통 사찰 소장 기록문화재 발굴 및 정리 / 소장 문화재의 학술적 가치 발굴 및 활용 방안 마련 / 훼손 문화재 복원 방안 강구 / 문화재 가치 대외홍보 및 보존 계획 수립
사업내용 : 대한불교조계종 16교구 소속 사찰 전수 조사
- 시행시기2021년 9월∼완료일
- 장 소대한불교조계종 16교구 소속 사찰
- 사업내용경북불교문화원 소속 교수, 전문연구원 등이 참여하여 소장자료에 대해 전수 조사 및 보고서 작성/
학술대회 개최 및 도록 제작/ 활용 가능한 문화콘텐츠 발굴 및 활용사업
시행방법
주최 : 사단법인 경북불교문화원 / 주관 : 고운사 및 56개 말사(2021년 고운사, 봉정사, 각화사 예정) / 후원 : 조계종불교중앙박물관, 경상북 도, 각 시군지자체
소요예산
금 10억원(사찰별 2천〜5천만원)
기타사항
예산 확보는 법인 회원 회비 및 지자체 보조 이용
향후계획
확보된 자료 일체는 아카이브와 각종 전시회 개최를 통해 일반인 열람이 가능토록 제공
2. 사찰 체험 프로그램 개최
-
목적
개인 및 단체의 불교 체험을 통해 화합 의식 고취 / 불교 사상의 현대적 계승 홍보 / 인접 종교와의 화합 유도 / 지역 관광객 유치
사업내용
- 시행시기매년 6월
- 장 소16교구 소속 사찰
- 사업내용사찰별로 각각 운영 중인 체험프로그램을 종합화하여 특정 기간에 진행될 수 있도록 하며 홍보방안 통일 /
타 종교를 대상으로 체험프로그램을 홍보하고 참석도록 하여 종교간 화합 유도 /
전문가 특강을 개최하여 시민들의 적극적 참여 유도
시행방법
주최 : 사단법인 경북불교문화원 / 주관 : 조계종 16교구 / 후원 : 조계종불교문화사업단
소요예산
금 1천만원
기타사항
각사찰별 체험프로그램 예산 및 법인 회비 이용
향후계획
외국인 대상의 국제 사찰체험 프로그램으로 확대
3. 경북불교문화제
‘호계삼소(虎溪三笑)’ 개최-
목적
화쟁 사상에 바탕한 종교간 화합 행사 개최 / 고려 팔관회의 기본 의식 현대적 재현 / 전통 민속 연희 시연 및 복원
사업내용
- 시행시기매년 11월 초
- 장 소 도청 특별 무대
- 사업내용국가안녕, 호국영령추모, 전통연희 등으로 구성된 고려 팔관회를 재현하며 각 종교인들이 함께 참여하여
화합의 장 마련 / 광역단체 및 시군지자체장의 참여로 대민 메시지 전달 / 채붕(彩棚)을 활용한 전통 연희 공연
시행방법
주최 : 사단법인 경북불교문화원 / 주관 : 조계종 16교구, 개신교, 천주교 등 각 종교단체 / 후원 : 경상북도, 시군지자체, 조계종불교문화사업단
소요예산
금 2억원
기타사항
각광역, 시군지자체 보조 이용
향후계획
종교 간 화합행사 및 광역단체 주도의 행사로 발전 유도
4. 간경도감(刊經都監) 설치
-
목적
한글 보급 역할을 담당한 간경도감의 현대적 계승 / 지역 사찰 소장 한글 자료 복원 / 『훈민정음』 소장처로서의 지역 사찰의 위상 정립 / 전통 기록문화 관련 교육 및 전수
사업내용
- 시행시기매년
- 장 소봉정사, 희방사, 광흥사
- 사업내용복합문화관 성격의 간경도감 개관 및 홍보 / 『훈민정음』 생산지 및 소장처로서의 광흥사, 희방사 홍보 /
간경도감 간행 한글문헌 복원 및 관련산업(종이, 먹, 목재) 육성방안 마련 / 전통인쇄문화 관련 교육 정례화
시행방법
주최 : 사단법인 경북불교문화원 / 주관 : 조계종 16교구/ 후원 : 경상북도, 시군지자체, 조계종불교문화사업단
소요예산
금 1억원
기타사항
광역, 시군지자체 보조 이용
향후계획
초기 한글 문헌 보급 및 기록문화 교육기관으로 발전
5. 훈민정음 해례본 귀향 시민운동
-
목적
간송미술관 소장 훈민정음 안동본 귀향운동을 통한 문화주권 확보/ 훈민정음 원소장처로서의 안동 위상 정립
사업내용
- 시행시기완료시까지
- 장 소광흥사, 희방사, 광산김씨 긍구당
- 사업내용훈민정음 원소장처로의 귀향 시민운동 전개 / 안동시에『훈민정음』의 상설 전시가 가능하도록 민관 협력운동 전개 / 훈민정음 원소장처(광흥사)로서 불교사찰의 위상 홍보 / 유림단체 및 언론 연계
시행방법
주최 : 사단법인 경북불교문화원 / 주관 : 조계종 16교구, 유교문화원, 안동문화방송 / 후원 : 경상북도, 안동시
소요예산
금 1억원
기타사항
광역, 시군지자체 보조 이용
향후계획
지역 문화주권 운동으로 발전
6. 유네스코 세계유산 보존 및 홍보
-
목적
유네스코 세계유산 봉정사 보존 / 세계유산 위상 정립 및 홍보
사업내용
- 시행시기매년
- 장 소봉정사
- 사업내용세계유산 봉정사 홍보 프로그램 계획 수립 및 운영 / ‘산사, 한국의 산지승원’ 봉정사 세계유산 관련 사업 지원 /
간경도감 간행 한글문헌 복원 및 관련산업(종이, 먹, 목재) 육성방안 마련 / 전통인쇄문화 관련 교육 정례화
시행방법
주최 : 사단법인 경북불교문화원/ 주관 : 봉정사/ 후원 : 경상북도, 안동시, 유네스코 한국위원회, 조계종불교문화사업단
소요예산
금 2억원(매년)
기타사항
문화재청, 경상북도, 안동시 지원
향후계획
유네스코 세계유산 7개 사찰과 연계 사업 진행
7. 명사초청 인문학 아카데미
-
목적
지역민 대상 인문학 강좌 실시/ 불교유산 관련 시민 강좌
사업내용
- 시행시기매년
- 장 소16교구 사찰 일원
- 사업내용국내 저명인사 초청 인문학 특강 / 불교 화쟁사상의 현대적 계승 방안 및 세부 주제별 강의/ 지역 대학 연계
시행방법
주최 : 사단법인 경북불교문화원 / 주관 : 16교구 고운사, 대학 및 연구소/ 후원 : 경상북도, 조계종불교문화사업단
소요예산
금 1천만원(매년)
기타사항
지역 대학 연계 프로그램 운영, 광역 및 시군지자체 지원
향후계획
지역 최고 수준의 인문학 강좌로 정착
8. 청소년 문화재 순회 강좌
-
목적
지역 청소년들의 전통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 환기/ 문화주권운동으로서 문화재 현장 강좌
사업내용
- 시행시기매년
- 장 소문화재 소장처
- 사업내용법인 회원들이 직접 청소년들을 방문하여 문화재 교육 프로그램 운영 /
청소년 단체, 교육기관과 연계하여 문화재 현장 탐방 및 강좌 실시
시행방법
주최 : 사단법인 경북불교문화원 / 주관 : 16교구 및 각 교육기관 / 후원 : 시군 지차체, 경상북도교육청
소요예산
금 5백만원(매년)
기타사항
시군지자체 지원
향후계획
지역 최고 수준의 청소년 문화 강좌로 정착
9. 의성최치원문학관
AR/VR 콘텐츠 제작 사업-
목적
최치원문학관 활성화/4차산업시대 불교문화관람 도구의 선제적 제작/지역 관광객 유치 및 문학관 홍보
사업내용
- 시행시기2022년
- 장 소최치원문학관
- 사업내용AR/VR/XR/메타버스 등의 기법을 도입한 실감형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고 관람객 유치 도모 지원
시행방법
주최 : 사단법인 경북불교문화원/주관 : 최치원문학관/후원 : 고운사, 의성군
소요예산
금 10억원
기타사항
예산 확보는 의성군 보조 이용
향후계획
중국 양저우 최치원기념관과 연계
10. 고운사 사찰음식문화제 지원
-
목적
사찰음식문화의 우수성 홍보/ 불교 식문화의 전통 계승 및 현대적 융합 가능성 확보/ 지역 관광객 유치 및 사찰 홍보
사업내용
- 시행시기매년 10월
- 장 소고운사
- 사업내용현재 고운사에서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는 사찰음식문화제의 운영 방안 계획 수립 및 진행
시행방법
주최 : 사단법인 경북불교문화원 / 주관 : 고운사, 경상북도/ 후원 : 조계종불교문화사업단
소요예산
금 3억원
기타사항
예산 확보는 법인 회원 회비 및 지자체 보조 이용
향후계획
중국, 일본, 베트남, 네팔, 미얀마 등 불교기반 국가의 사찰과 연계하여 세계사찰음식축전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함
